금리인상에 예·적금 특판 관심↑...정작 은행권은 시큰둥
금리인상에 예·적금 특판 관심↑...정작 은행권은 시큰둥
  • 장민선 기자
  • 승인 2021.09.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 기사를 번역합니다

- 기준금리 인상에 예·적금 금리도 잇달아 인상
- 연 10% 특판도 등장...정작 시중은행은 "글쎄"

기준금리 인상으로 초저금리 시대가 막을 내리자, 예·적금 금리도 잇달아 상승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금리 연 5~10%에 달하는 특판 상품에 대한 관심도 커졌습니다. 그렇다고 시중은행들이 고금리 특판을 내놓긴 쉽지 않습니다. 정부의 대출 규제로 수신자금을 운용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사진=한국은행]
[사진=한국은행]

◆ 제로금리 끝나자 예·적금 금리 줄인상

5일 은행권에 따르면 한국은행이 2년 9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0.75%로 전격 인상하자, 시중은행들도 예·적금 금리를 줄줄이 올리고 있습니다. 신한은행은 예·적금 금리를 연 0.2~0.3%포인트 올렸습니다.

하나은행도 연 0.1~0.3%포인트, NH농협은행과 우리은행 역시 각각 0.05~0.35%와 0.1~0.3%포인트를 올렸습니다. KB국민은행은 최고 연 0.4%포인트까지 수신금리를 높여 가장 높은 인상폭을을 기록했습니다. 

앞서 케이뱅크는 기준금리 인상 이틀 뒤인 지난달 28일부터 정기예금 금리를 가입 구간 전 구간에 대해 0.2%포인트 일괄 인상해, 1년 만기 정기예금 금리는 연 1.4%가 됐습니다.

케이뱅크를 시작으로 시중은행들이 예·적금 금리를 줄줄이 인상한 것입니다. SC제일은행은 정기예금을 포함한 거치식예금, 양도성예금증서 등 시장성예금에 대해 이달 중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수신금리 인상으로 정기 예·적금 금리 모두 1%대 초중반이 될 전망입니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을 보면 국내 은행의 신규취급액 기준 정기예금 평균 금리는 지난해 5월 연 1.07%였습니다. 

그후 정기예금 평균 금리(신규 취급액 기준)는 줄곧 0%대를 유지해 왔습니다. 또 정기적금 평균 금리는 지난해 7월부터 연 1.1%대를 기록해왔습니다.

◆ 예·적금 특판으로 고객 유치 경쟁

일부 금융사들은 연 5~10% 금리의 특판을 통해 고객을 유치하고 있습니다. 우리종합금융은 최고 연 10%의 금리를 받을 수 있는 '하이 정기적금'을 스마트뱅킹 비대면 전용으로 판매 중입니다.

가입기간은 12개월, 월 납입액은 1만~10만원, 기본금리는 2%입니다. 우리종합금융과 최초로 거래하는 이용자에게 우대금리 4%를 제공합니다. 연초 케이뱅크는 '핫딜적금 x 우리카드'를 선보인 바 있습니다.

기본금리 연 1.80%에 카드사용 실적과 마케팅 활용 동의여부에 따라 우대금리를 최고 연 8.20% 적용해 연 10% 금리를 제공합니다. 신한은행은 '신한 더모아 적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이 상품은 최근 6개월간 신한카드 이용 이력이 없는 소비자가 일정 조건을 충족할 시 7%까지 금리를 제공합니다. 우리은행의 '우리 Magic 적금 by 롯데카드'는 최고 연 7%의 금리를 제공합니다.

가입기간은 12개월이며, 가입금액은 월 50만원 이하입니다. 기본금리 연 1.5%에 우대금리 최대 연 0.5%포인트와 특별우대금리 최대 연 5%포인트를 더해 최대 7%의 금리를 제공합니다. 

◆ 대출 규제 탓에 은행권은 진퇴양난

금리인상으로 예·적금에 대한 관심이 커진 만큼 '고금리 예·적금 특판'을 찾는 고객들은 갈수록 늘어날 수 있습니다. 더욱이 이번 기준금리 인상에 이어 10~11월 중 추가 인상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예·적금 상품에 대한 수요가 더 커질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은행들은 향후 지속적인 기준금리 인상에 대비해 미리 자금을 유치해야 하므로, 특판에 기대를 걸 만 합니다. 그러나 현실은 녹록지 않습니다. 

정부가 강력한 대출 규제 신호를 보내고 있기 때문입니다. 금융당국의 강력한 대출 억제 정책 탓에 많은 수신자금을 조달해도 대출로 운용하기 어려운 게 은행권의 현실입니다.

한 은행 관계자는 "예·적금에 대한 관심이 다시 커지면서 고객을 모을 수 있는 적기를 맞았다"며 "하지만 금리 인상에도 현재로선 별도의 특판을 계획하긴 쉽지 않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금융당국의 대출 규제가 강화되면서 대출 총량을 관리해야 하기 때문"이라며 "예금을 유치해서 자금을 대거 조달할 수 있다 해도 대출로 운용하기는 어렵다"고 털어놨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