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블록체인, 시민 자기결정권 지켜주는 수단 될 것"
SKT "블록체인, 시민 자기결정권 지켜주는 수단 될 것"
  • 김민지 기자
  • 승인 2019.04.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 기사를 번역합니다

25일 '익명성 증진을 위한 블록체인 기술' 밋업에서 SK텔레콤 블록체인사업개발유닛 팀장이 주제 발표를 하고 있다.

[팍스경제TV 김민지 기자]

"앞으로 블록체인은 개인이 자기 결정권을 지킬 수 있게끔 만들어주는 중요한 수단이 될 것입니다." 

지난 25일 오후 서울시 중구 SKT 타워 SUPEX 홀에서 사단법인 오픈블록체인산업협회 주최로 개최된 ‘오픈블록체인세미나 2019 Spring’에서 첫 번째 연사로 나선 김종승 SK텔레콤 블록체인사업개발유닛 팀장은 이같이 말했다.

이날 밋업의 주제는 데이터 수집 기술이 고도로 발달한 현대 사회에서 개인의 익명성 보호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이냐는 것이었다. 그는 "익명성 보호는 단순한 개인정보 유출을 넘어 경제 매커니즘과도 직결되는 문제"라고 주장했다. 

과거 산업 자본주의 시대에서 감시자본주의 시대로 넘어오면서 익명성의 영역이 새롭게 재해석 되고 있다는 것이다. 감시자본주의란 기업들이 인간의 성향을 분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행동을 예측해 추가적인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단계를 말한다.

아마존 등 글로벌 단위의 플랫폼 기업들이 감시자본주의 역량을 갖춘 대표적 기업으로 꼽힌다. 최근에는 페이스북이 고객의 동의 없이 취합된, 개인화된 취향 데이터 등을 이용해 자사의 이익을 창출했다는 것이 밝혀져 논란이 되기도 했다. 

김 팀장은 특히, 기업들이 예측의 정확도를 위해 인간의 행동을 조정하는 행동 수정(Behavior modification)을 유도함으로서 상품 가치를 높이기도 한다고 말했다. 이는 자본주의 기업들이 쉽게 돈을 벌기 위해 소비자의 선택권과 자기주권, 자기결정권 등을 침해하는 쪽으로 상황이 흘러가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소비자들은 자신이 자유롭게 어떤 선택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그것은 제시된 선택지라는 틀 안에서 이뤄지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이 모든 문제들은 기업들이 개인 정보를 관리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일들이다. 최근 블록체인 분야에서 익명성 보호 논의가 활발해진 이유도 거기에 있다. DID(Decentralized Identity), 영지식 증명, 난독화(Obfuscation) 등의 기술과 블록체인을 결합하면 개인이 자신의 정보를 직접 통제하는 게 가능하기 때문이다. 

한편 SK텔레콤 측은 이날 주제 발표 뒷부분에서 실제 사업모델로 변환이 가능한 자기주권 신원(Self Sovereign Identity)모델을 소개하기도 했다. 현재 소수의 IT 대기업들에 의존하고 있는 온라인 신원제공 모델을 블록체인을 이용해 바꿔보자는 것이다. SK텔레콤은 올 상반기 중 이같은 콘셉트를 적용한 블록체인 신분증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한성준 SK텔레콤 매니저는 "자기주권 신원 모델을 도입하면 개인정보 사용과 제공의 주체가 기업에서 개인으로 바뀌게 된다"며 "신원 정보를 훨씬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고, 온라인상에서 본인 확인이 필요한 분야에도 더 쉽게 접목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