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 첨단 항공소재 국산화 속도낸다…"2030년까지 국산화율 50% 목표"
KAI, 첨단 항공소재 국산화 속도낸다…"2030년까지 국산화율 50% 목표"
  • 김홍모 기자
  • 승인 2021.10.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 기사를 번역합니다

항공소재개발연합의 항공우주소재 국산화 성과 전시 [사진제공-한국항공우주산업]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20일 서울공항에서 개최되는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에서 ‘항공소재개발연합’의 항공우주소재 국산화 성과를 발표하고 20여 개 기관과 기술 교류회를 개최했다고 밝혔습니다.

항공소재개발연합은 2019년 국내 항공우주산업 발전과 소재 국산화를 위한 협력체계 구축 목적으로 출범해 현재 KAI를 포함해 총 20개 기관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번 기술교류회에서는 강남제비스코, 진합, 한화컴파운드, KCC 등 신규 9개 업체가 항공소재개발연합에 동참합니다.

KAI는 1800여 종의 소재와 표준품 중 2030년까지 사용 빈도가 높은 상위 50% 품종(900여 종)을 국산 소재로 대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2019년 이후 소재 국산화를 추진한 결과, 알루미늄 압출재와 티타늄 압연재, 분말 등 항공소재 20종과 기계류, 전장류, 배관류의 표준품 15종 등 총 35종의 국산화를 완료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국산화 품목은 항공기에 사용 가능한 QPL(인정품목록)에 등재해 한국형 전투기 ‘KF-21’ 생산에 사용하며, 외산 구매 대비 원가를 40% 절감했습니다. QPL는 감항인증기관에서 제시한 성능 기준을 통과한 품목으로 항공기 소재, 부품으로 사용가능함을 인정받았음을 뜻합니다.

현재 항공용 소재부품 국산화는 금속재(알루미늄, 티타늄, 티타늄 분말), 복합재(수지, 에폭시, 경화제), 표준품(기계, 배관, 전장), 기능재(도료, 실런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추진 중입니다. 항공용 소재는 가벼우면서도 높은 강도와 내구성, 내열성 등의 특성을 갖추고 있어 레이더, 엔진, 스텔스 기술 등과 함께 기술이전이 제한되는 핵심기술로 분류됩니다.

국산화에 성공하면 소재 자체의 부가가치가 크기 때문에 경제효과 및 고용창출 효과도 큰 것이 특징으로 특히, 원가경쟁력은 물론 소재 수급의 안정을 통해 생산일정을 단축하고 수출 경쟁력도 높아집니다. 국내 항공용 소재 시장은 1조1200억원 규모로 매년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소재 국산화가 필수라는 판단입니다.

KAI 관계자는 “소재부품 국산화를 통한 수입대체 효과는 2030년까지 약 7500억 원 규모로 예상된다”며 “납기는 30% 이상 단축되며, 민수로 확대 시 효과는 군수의 2배 이상 커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