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카드업계, 2022년 디지털 전환·신사업 향해 달린다
[이슈] 카드업계, 2022년 디지털 전환·신사업 향해 달린다
  • 김미현 기자
  • 승인 2022.01.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 기사를 번역합니다

- 카드사 CEO들, 디지털 전환 가속·수익원 다각화 강조
- 수수료율 인하, 빅테크 경쟁 등으로 수익성 악화 우려

올해 카드사들은 디지털 전환에 더욱 속도를 내고, 신성장동력 발굴을 통해 수익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할 방침입니다. 특히 카드사 수수료율 인하와 빅테크와의 경쟁 심화 등에 대응하려면 새로운 수익원을 적극 찾아야 합니다. 

◆ 카드사 CEO들 "디지털 전환 가속·수익원 다각화"

5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신한·KB국민·현대·롯데·우리·삼성카드 최고경영자(CEO)들은 신년사를 통해 디지털 역량 강화 의지를 내비쳤습니다. 임영진 신한카드 사장은 데이터와 디지털 역량을 극대화할 계획입니다.

임 사장은 "오픈뱅킹이나 마이데이터 등 미래사업 고도화와 종합지급결제업의 새로운 접목을 추구하는 등 사업 포트폴리오 확장도 가속해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위기의 바람 앞에 멈춤이 아닌 더 큰 성장의 기회를 여는 힘찬 도약의 한 해를 만들자"며 "불확실성을 뛰어넘는 돌파 성장을 통한 일류 플랫폼 기업으로 끊임없이 진화해 나가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김정기 우리카드 사장도 올해를 '디지털 지급결제 금융사'로 도약하는 원년으로 삼으려 합니다. 그는 "전 부문을 디지털화할 것"이라며 "신수익원 발굴을 통한 수익구조도 다변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조좌진 롯데카드 사장 역시 경영키워드로 '디지털 혁신'을 제시했습니다. 조 사장은 "롯데카드만의 방식으로 디지털 모델을 만들어 나가는 원년이 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초개인화 기반의 큐레이팅 디지털 컴퍼니로 전환해 기존 신용판매와 금융사업을 기초로 한 신용카드 회사의 비즈니스 모델을 한 단계 더 끌어올리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창권 KB국민카드 사장은 "신규사업 기반을 확대하고 신기술을 통해 미래금융을 개척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정태영 현대카드 부회장은 "금융테크 기업의 입지를 확고히 하겠다"고 전했습니다. 

물론 카드사 본연의 경쟁력도 강화해야 합니다. 김대환 삼성카드 사장은 "가맹점 수수료율 인하, 대출규제 강화, 기준금리 상승과 빅테크 기업 등과의 업권을 넘어선 경쟁이 심화된 상황"이라고 우려했습니다.

그는 "이를 극복하려면 경쟁력의 근간인 고객, 상품, 채널 관점에서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전략을 실행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지속 성장을 위해 기본에 충실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임영진 사장은 지불결제 시장에서의 본원적 경쟁력을 극대화할 방침입니다. 그는 "1등 시장지배력과 일류의 혁신으로 카드 본업의 차별화된 우위로 신한카드만의 성장 토대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조좌진 롯데카드 사장 역시 "신용카드사로서의 본원적 경쟁력을 지속해서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김정기 우리카드 사장도 "고객 중심 경영과 본업 핵심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임영진 신한카드 사장(왼쪽부터 시계방향), 이창권 KB국민카드 사장, 정태영 현대카드 부회장, 김대환 삼성카드 사장, 김정기 우리카드 사장, 조좌진 롯데카드 사장. [사진=각 사 제공]

◆ '험난한 시장 상황' 수수료율 인하와 빅테크 경쟁

물론 올해 시장 상황은 호의적이지 않습니다. 가맹점 수수료율 인하와 빅테크 기업과의 경쟁 심화 등으로 카드사들의 수익성 전망은 밝지 않은 상황입니다.

최근 전체 가맹점 96%의 카드 수수료율이 인하됐습니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12월 카드수수료 개편방안 당정협의를 열고 연매출 기준 3억원 이하 영세가맹점의 수수료율을 0.8%에서 0.5%로 낮췄습니다. 

또 3억~5억원은 1.3%에서 1.1%로, 5억~10억원은 1.4%에서 1.25%로, 10억~30억원은 1.6%에서 1.5%로 각각 인하했습니다. 이에 따른 수수료 감소분 4700억원은 카드사의 이익 감소로 이어집니다.

카드사들은 축소된 수수료 수익을 보전하기 위해 구조조정 등 비용절감에 나서야 합니다. 가맹점이나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축소할 가능성도 높습니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우대수수료율(원가 이하 수수료)을 받는 가맹점이 전체 96%면 나머지 4%에서 모든 이익을 내야 한다"며 "수익을 낼 수 없는 구조이므로 신용판매에서 적자를 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지난해 카드사들의 수익성이 개선된 것은 카드사들이 마케팅 비용을 줄인 영향도 큽니다. 코로나19 여파로 카드 이용 확대를 위한 영업을 적극적으로 할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이 관계자는 "축소된 수익을 보전하기 위해선 구조조정 등을 통한 비용절감을 고려해야 한다"며 "이렇게 수익성을 맞춰놓으면 결국 또 이것이 (수수료율) 인하 여력으로 이어질까 우려된다"고 털어놨습니다.

네이버와 카카오 등 빅테크 기업과의 경쟁이 심화되면서, 이들 기업과 카드사 간 형평성 논란도 불거졌습니다. 카드사들은 3년을 주기로 카드 수수료 적정비용 계산의 규제를 받고 있습니다.

이에 비해 대한 규제에서 자유로운 빅테크 기업은 결제 수수료를 자율적으로 정하고 있습니다. 김주현 여신금융협회장도 최근 신년사를 통해 이런 문제의 심각성을 지적했습니다.

김 회장은 "빅테크는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다양한 경쟁력 강화 활동을 하고 있다"며 "반면 카드사는 금융회사란 이유로 할 수 없는 시스템이 있는 만큼, 여러 각도에서 재검토돼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카드업계는 축소균형을 원하지 않는다"며 "공정경쟁을 하면서 생산적인 확대균형을 이룰 수 있는 방향으로 관계 당국과 필요한 조치들을 협의해 나가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전문가들도 비대칭적 규제를 해소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김자봉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빅테크의 금융참여 방식은 제휴·파트너십, 인허가, 그림자금융 등으로 다양하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이런 방식들에 차이점들은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동일기능 동일규제'가 적용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결국 카드사들은 카드업을 넘어 종합 플랫폼으로 도약하기 위한 해법을 찾고 있습니다. 

박지홍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수익성 제고를 위해 오프라인에서의 강점을 강화할 것도 제안했습니다. 그는 "앞으로 플랫폼 지위에 기반한 빅테크의 시장 지배력 강화가 예상된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카드사는 지급결제 사업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 오프라인 영역의 강점을 살리고,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