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P 월평균 16% 성장…부동산 관련 대출 과반"
"P2P 월평균 16% 성장…부동산 관련 대출 과반"
  • 장가희 기자
  • 승인 2017.09.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 기사를 번역합니다

자본시장연구원 보고서 "투자자 리스크 관리 필요"

[팍스경제TV 장가희 기자] 온라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인간 투자와 대출이 이뤄지는 P2P(Peer to Peer) 금융 시장이 급성장하는 가운데 감독 사각지대가 존재하는 만큼 개인투자자와 업계의 리스크 관리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자본시장연구원이 19일 발간한 '최근 P2P 금융의 급성장과 시사점' 보고서는 "최근 중금리 투자 수요와 개인신용대출상품, 부동산과 소상공인 등 다양한 상품군 수요로 P2P 금융시장이 지난해 6월 이후 월평균 16% 이상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원은 "지난 5월 P2P 대출 가이드라인이 시행되면서 대출액이 급감하기도 했으나 8.2 부동산 대책 이후 다시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누적 대출액의 상품 구성을 보면 부동산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과 부동산담보 대출 상품이 약 55%를 차지한다. 지난달 말 기준 부동산 PF는 33.6%(4469억원), 부동산담보는 22.6%(3007억원)였다.'

 김규림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원은 "그러나 최근 들어 연체 또는 부실이 발생한 P2P 업체 수가 늘면서 평균 연체율과 부실률이 급증하고 있다"며 "특히 개인신용에 대한 대출 비중이 높은 P2P 업체들이 연체와 부실을 겪고 있다"고 우려했다.

연체 또는 부실이 발생한 P2P 업체는 지난달 말 기준 15개사로 작년 11월 말의 7개사 대비 2배 이상 증가했다. 연체 미발생 P2P 업체의 개인신용 대출취급 비중 평균은 1.1%, 연체 발생업체의 개인신용 비중은 34.7%다.

 김 선임연구원은 "개인신용대출의 경우 은행권 대비 저신용자를 대상으로 대출이 이뤄져 연체나 부실의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크다"고 강조했다.

 그는 "아직 P2P 업체의 업력이 짧아 부동산 PF나 부동산담보 대출에 대한 만기가 도래하지 않은 것도 개인신용대출의 부실 발생 비중을 높인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정부는 P2P 대출과 연계된 대부업자에 금융위원회 등록 의무를 부여하는 등 투자자보호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제도 정비에 착수했으나 개정법규의 시행시기가 내년 3월로 상당 기간 남아있다.

김 선임연구원은 이런 점을 고려해 "부동산 대출 규제, 개인의 부실채권(NPL) 투자 참여 제한 등으로 P2P 업체를 통한 대출, 투자 수요가 높아질 수 있어 투자자와 업계의 자체적인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Tag
#P2P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