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트] 국제일반명 도입...“관리 용이 vs 존폐 위기”
[리포트] 국제일반명 도입...“관리 용이 vs 존폐 위기”
  • 박경현 기자
  • 승인 2019.06.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 기사를 번역합니다

“국제일반명 도입 방안 위해 연구 추진 중”
도입 시 양극화 ‘우려’...중소제약사 영향 커

[팍스경제TV 박경현 기자]

앵커) 정부가 제네릭 의약품 관리 강화를 위해 국제 일반명 제도의 국내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기업 입장에서는 공들여 온 브랜드가 사라질 수 있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박경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제조사와 성분명을 단순 조합해 사용하는 국제 일반명. 


WHO에서 복잡한 화학구조를 가진 약물들을 체계적이고 간단하게 부르기 위해서 개발한 명칭 제도입니다. 

 

최근 식약처는 국내 의약품에 이 같은 국제 일반명 사용을 검토하고 있다는 입장을 내놨습니다.


예를 들면 고혈압 치료 성분 발사르탄으로 만든 복제약은 제품명 대신 기업 이름 뒤에 발사르탄이란 성분명을 붙이는 형태가 되는 겁니다.

이렇게 되면 업체마다 붙였던 고유의 약 이름은 없어지게 됩니다.

(하단) 소비자 혼란 감소·관리 효율성 높아져
시장 내 동일 성분 복제약이 수백 개에 달해 소비자가 헷갈릴 수 있다며, 일반명 사용으로 소비자 혼란을 줄이는 한편, 정부의 관리 효율성도 높인다는 겁니다.

[전화인터뷰] 
식약처 대변인실 : 저희는 현재 국내 의약품제도 개선과 관련해서 여러 나라 외국제도 현황을 파악하고 있는 단계입니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국제 일반명 사용을 반대하는 분위기입니다.


브랜드 하나를 알리기 위해 막대한 마케팅 비용을 쏟아 부었는데, 하루아침에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단 겁니다.

 

특히 다양한 품목의 제품을 판매해 매출이 큰 대형기업보다, 대표적인 몇 개에 의존하고 있는 중소제약사가 받는 영향은 더 크다는 지적입니다.

[전화인터뷰]
업계 관계자 : 특히 작은 기업들이 본인 브랜드를 잃어버리면 큰 기업 위주로 약이 판매가 되니까 산업계 내 양극화가 벌어질 것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국내 제약산업은 성분을 복사해 약을 생산하는 제네릭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상황.

 

이렇다 보니 정부의 정책 변화가 업체는 물론 제약 산업 전반에도 타격을 줄 수 있단 목소리도 있습니다.

이 같은 반발에도 식약처는 국제 일반명 추진을 검토하겠다는 방침. 이에 따라 식약처와 제약산업계의 갈등은 한층 커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팍스경제TV 박경현입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