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근로시간 단축 조사] 기업 55% '경영에 부정적' 19% '긍정적'
[한경연 근로시간 단축 조사] 기업 55% '경영에 부정적' 19% '긍정적'
  • 박혜미 기자
  • 승인 2018.06.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 기사를 번역합니다

근로시간 단축이 경영실적에 미칠 영향 [사진=한국경제연구원]
근로시간 단축이 경영실적에 미칠 영향 [표=한국경제연구원]

[팍스경제TV 박혜미 기자] 7월1일 근로시간 주 52시간 단축 시행을 앞두고 기업들의 절반 이상이 경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연구원(원장 권태신, 한경연)이 지난해 매출 600대 기업 중 이번 근로시간 단축에 해당되는 업종에 속한 372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6일 밝혔다.

응답기업(112곳) 중 55.4%(62곳)은 근로시간 단축이 영업이익 등 경영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답했고 19.6%(22곳)는 긍정적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근로시간 단축으로 인한 어려움을 묻는 질문에는 노조의 근로시간 단축으로 축소된 임금보전 요구, 생산성향상 과정에서 노사간 의견 충돌 우려가 각각 35.7%로 가장 많았다.

이어 계절적 요인 등 외부 수요변화에 따른 생산조절 능력 저하(29.5%), 추가 고용으로 인한 인건비 부담(28.6%), 신제품 개발·연구개발 기능 저하(15.2%), 협력업체 납기 지연으로 인한 생산 차질(10.7%) 등이 뒤를 이었다.

가장 어려움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부서는 72.3%가 생산현장(공장)일 것으로 예상했다. 이어 연구개발(22.3%), 영업(19.6%), 인사(13.4%) 부서로 이어졌다.

근로시간 단축에 대한 기업 대응 [표=한국경제연구원]
근로시간 단축에 대한 기업 대응 [표=한국경제연구원]

대응방안에 대해선 생산성 향상 대책을 추진하겠다는 답변이 74.1%로 가장 많았다. 이어 신규인력 채용(27.7%), 일부 업무 외주화(12.5%), 해외공장 이전 검토(1.8%)등으로 답변했다.

생산성 향상 대책을 추진하겠다는 기업들 중 사무·연구개발 분야는 54.2%가 유연근로시간제 실시, 43.4%는 집중근로시간제 실시, 칼퇴근 문화 정착(34.9%), 회의시간 축소(25.3%) 등을 구체적인 계획으로 답했다.

생산현장은 50.6%가 교대제 개편을, 32.5%가 근로시간 유연화, 31.3%가 스마트공장 추진, 22.9%가 인력전환배치를 하겠다고 답했다.

근로시간 단축을 연착륙시키기 위한 제도보완 방안으로는 57.1%(64곳)가 탄력적 근로시간제 단위기간 연장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어 근로시간저축제도 도입(33.9%), 생산성에 상응하는 임금체계 구축 지도(32.1%), 화이트칼라 이그잼션 제도(일정 수준 이상 소득을 받는 관리직, 행정직 등 전문직이나 외근 영업직 등에 대해 초과 근로 수당을 지급하지 않는 제도) 도입(19.6%), 연장근로수당 할증률 인하(13.4%)로 이어졌다.

단위기간 연장이 필요하다고 답변한 기업 중 취업규칙에 따른 단위기간은 현행 2주일에서 3개월로 연장하는 의견이 64.1%, 노사 서면합의에 따른 단위기간은 현행 3개월에서 1년으로 연장해야 한다는 의견이 75%로 각각 가장 많았다.

전체 답변 기업중 탄력적 근로시간제는 74.1%(83곳)나 실시하지 않고 있었고 25.9%(29곳)만 실시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경연은 "근로시간이 단축되면서 필요성이 높아진 탄력적 근로시간제도의 근로시간 유연화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선진국 수준으로 단위기간을 조정해야 한다는 기업 의견이 반영된 결과"라고 해석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