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점순 할머니…고통 딛고 평화의 나비 된 일생
안점순 할머니…고통 딛고 평화의 나비 된 일생
  • 성은숙 기자
  • 승인 2021.08.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 기사를 번역합니다

고통스런 기억을 딛고 여성·평화·인권운동가로 노년기 활발한 활동
‘안점순’이라는 자신의 이름으로 세상에 나오기까지 수십 년의 시간이 필요했다
수원시민사회장으로 치러진 안점순 할머니 장례식

[수원=팍스경제TV 성은숙 기자] 8월 14일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이다.

1991년 최초로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국내외에 알리고, 피해를 증언한 故김학순 할머니와 피해자들을 기리기 위한 국가기념일로 아시아연대회의에서 지정했다.

수원시에도 위안부 피해자가 살고 있었다. 영문도 모르고 끌려갔던 소녀였지만 끔찍했던 기억을 꺼내 평화와 인권을 설파하는 활동가로 왕성하게 활동했던 故 안 점순(1928~2018) 할머니다.

일본의 만행을 알려 다시는 전쟁과 핍박이 없는 평화로운 세상을 꿈꾸던 할머니는 일본으로부터 직접적인 사과를 듣지 못한 채 2018년 3월 30일 고단하지만 아름다웠던 삶을 마감했다.

순이는 일제의 핍박이 극심하던 1928년 겨울 서울 마포에서 태어나 어려운 가정을 돕는 효녀로 자랐다.

오라면 가야 하는 시절, 불행은 예고도 없이 찾아왔다. ‘마포 복사골 큰 방앗간 앞으로 몇 살부터 몇 살까지의 여자아이들은 다 모이라’는 방송이 울려 퍼진 어느 날, 순이는 엄마 손을 잡고 방앗간 앞으로 갔다.

쌀가마를 재는 저울에 여성들이 한 명씩 올라섰다. 그중 어느 정도 몸무게가 나가는 여성들은 영문도 모른 채 트럭에 올라타야 했다.

또래에 비해 덩치가 좋아 50㎏을 넘겼던 14살 순이도 트럭에 실렸다. 트럭은 여러 번 어딘가에서 멈춰 여성들을 더 태웠다.

여성들은 기차를 타고 평양으로, 중국 베이징으로, 톈진으로 이동해 어딘지 분간조차 어려운 곳으로 끌려갔다.

그곳에서 고통스러운 생활이 시작됐다. 일본 군인들은 시키는 대로 하지 않으면 칼로 위협하기도 했다.

훗날 순이는 말로 다 표현할 수 없을 정도로 끔찍하고 짐승보다도 못한 취급을 받았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지옥 같은 생활은 3년 넘게 지속됐다.

전쟁이 끝나자 일본 군인들은 여성들을 버리고 도망쳤다.

중국군과 러시아군이 쳐들어와 무차별 공격을 했다. 구사일생으로 살아남은 순이는 며칠을 무작정 걷다 베이징에 도착해 우연히 만난 광복군 집에서 허드렛일을 도우며 8개월 정도 피폐해진 몸과 마음을 추슬렀다.

순이는 한국으로 돌아가는 마지막 귀국선 소식을 듣고 톈진에서 배를 타고 인천에 도착했다.

꿈에 그리던 복사골 집으로 걸어가는 길, 순이는 떡시루를 머리에 이고 걸어오는 어머니와 마주쳤다.

하루도 빠짐없이 딸을 위해 기도하던 어머니가 기도를 마치고 집으로 돌아오던 길이었다. 생사를 넘나들며 집에 돌아온 순이와 어머니는 부둥켜안고 감격의 눈물을 흘렸다.

순이가 '안 점순'이라는 자신의 이름으로 세상에 나오기까지는 수십 년의 시간이 더 필요했다.

집에 돌아온 후 석 달을 앓아누웠던 순이는 남자라면 진저리가 나 결혼은 생각하기 싫었다. 결혼하고 잘 사는 남들을 보며 속이 아팠지만 속으로 삼켰다.

또다시 전쟁이 발생했고, 피난 생활을 하며 생계를 위해 빨래와 식당일 등을 가리지 않았다.

대구부터 강원도까지 옮겨 다니다 30대 초반부터 식당을 운영하며 고된 삶을 이어갔다.

고통스러운 날들 속에도 가족들은 순이에게 큰 힘이 되었다.

1993년 8월, 막내 조카가 안 점순을 피해자로 신고하고 피해자 생활 안정 지원법 대상자로 등록했다.

당시 신고 서류에는 '대인기피증'이라는 다섯 글자가 적혔다.

수원에 살고 있던 조카의 권유로 수원으로 온 뒤에도 위안부 피해는 언급하고 싶지 않았고, 얼굴을 드러내지 않고 조용히 지냈다.

마음을 열기 위해 피해자 지원 단체가 끊임없이 노력했고, 75세가 된 순이는 드디어 마음을 열고 '안 점순'이라는 이름으로 세상에 나왔다.

피해자 등록 후 10년이 지난 2002년이었다.

같은 아픔을 가진 다른 피해자들을 만나 서로를 보듬은 안 할머니는 비로소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다시는 자신과 같은 피해자가 나오지 않기를 바라며 일본대사관 앞 수요 시위에 참석했다.

일본의 만행을 전 세계에 알리기 위해 UN 인권위원회 여성폭력 문제 특별보고관에게 진정서를 제출하고, ILO(국제노동기구)의 국제 심포지엄에도 참여해 자신의 경험을 쏟아냈다.

직접 일본으로 가 증언 집회 및 일본 국회에서 참혹한 전쟁의 피해를 낱낱이 밝혔다. 다른 아시아 피해자들과 연대하고, 2015년 한일 합의 무효를 외치며 위로금 수령을 거부하기도 했다.

수원평화비 제막식

평화와 인권을 위한 안 할머니의 활동은 수원지역사회에 큰 울림을 주면서 수원에서 위안부 할머니를 위한 수원평화나비의 활동의 밑거름이자 원동력이 됐다.

2014년 3월 수원에서 평화비를 건립하기 위한 시민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이 시작돼 건립기금 7000여만원이 모아졌다.

수원시 역시 다산목민대상 대상 시상금 일부를 기부했고, 시민들의 마음을 담은 평화비는 수원시청 맞은편 올림픽공원에 세워졌다.

피해자 할머니들이 고통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날아가기를 염원하는 노란 나비 브로치가 제막식을 아름답게 수놓았다.

이날 수원 평화비 건립을 계기로 ‘수원평화나비’가 창립, 피해자의 인권회복과 매월 수요 집회를 주관하며 안 할머니와 발을 맞춰 걷기 시작했다.

이후 안 할머니와 수원평화나비, 수원시는 유럽 최초의 평화비 건립을 위해 의기투합했다.

2016년 독일 프라이부르크시와 자매결연을 한 수원시가 소녀상 건립을 제안했고, 74개 시민단체와 함께 건립추진 위원회를 결성해 시민 모금 활동을 시작했다.

그러나 일본의 조직적인 방해로 프라이부르크 소녀상은 결국 무산됐다.

수원시와 수원시민들은 포기하지 않았다. 독일 현지에서 독일추진위가 결성돼 힘을 보태면서 수원시민들의 정성으로 만들어진 평화의 소녀상은 독일 중남부 레겐스부르크 인근 네팔 히말라야 파비용 공원에 자리할 수 있게 됐다.

파비용 공원에 설치된 평화의 소녀상을 쓰다듬고 있다

안 할머니는 노구를 이끌고 독일까지 날아가 2017년 3월 8일(현지 시각) 평화의 소녀상 제막식에 참석해 “험한 세상이 없었으면 좋겠다”고 말했고, 소녀상은 ‘순이’라는 이름이 생겼다.

할머니는 1년여 만인 2018년 90세를 일기로 삶을 마감했다.

수원시는 할머니의 장례를 수원시민사회장으로 치러 마지막 길을 배웅하고 같은 해 8월 수원시 명예의 전당에 수원을 빛낸 8인 중 한 명으로 헌액하고, 사이버 명예의 전당을 오픈해 온라인으로 언제든 만나볼 수 있도록 했다.

이후 수원시와 수원평화나비는 올해 안 할머니를 기리는 ‘용담 안점순 기억의 방’을 만들었다.

수원시가족여성회관에 추모 공간 및 기림 비를 만들어 피해자의 허물을 벗고 여성운동가이자 인권운동가, 평화운동가로 다시 태어난 안점순 할머니의 뜻에 따라 일본의 진심 어린 사과를 받아내는 데 일조하기 위해서다.

코로나19 확산으로 개관은 미뤄졌지만 향후 시민들이 일본군 ‘위안부’의 역사를 기억하고 전쟁과 폭력의 부당함을 알리는 공간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이제라도 말 한마디라도 사죄 한마디 하면 끝날 일인데. 억만금을 준들 청춘이 돌아오겠어? 자기들(일본)이 사과했다지만 그 사람들(정부)한테 천 번 만 번 하면 뭐 하나. 본인들 곁에 와서 한마디라도 하는 게 원칙 아니야? 말 한마디가 듣고 싶다 이거지." 안점순 할머니의 바람은 단 하나 진정한 사과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