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제조업 생산능력 감소…고용환경 악화 우려"
한경연 "제조업 생산능력 감소…고용환경 악화 우려"
  • 이형선 기자
  • 승인 2020.08.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 기사를 번역합니다

2015년 이후 제조업 생산능력 연평균 증가율 0.7%…역대 최저 수준
고용기여도 높은 업종 생산능력 하락 두드러져…"국내 고용환경 악화 우려"
[자료제공: 한경연]
[자료제공: 한경연]

제조업의 생산능력 둔화로 국내 고용환경의 악화가 우려된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이 1990년부터 2019년까지의 제조업 생산능력지수를 분석한 결과 국내 제조업 생산능력지수가 2017년 이후 2년 연속 감소했다고 24일 밝혔다.

또 5년 단위 제조업 생산능력지수 연평균 증가율은 최근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특히  10대 제조업 중 5개 업종의 생산능력이 정체 또는 하락했는데, 이들 업종의 고용 비중이 높아 제조업 생산능력 저하가 국내 고용에 직접적인 타격을 미칠 것으로 한경연은 예상했다.

한경연에 따르면, 국내 제조업 생산능력지수는 2017년 정점(103.1)을 기록한 이후 2년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2016년부터 2019년까지 제조업 생산능력지수 연평균 증가율은 역대 최저 수준인 0.7%로, 1991년부터 2015년까지 연평균 증가율(4.7%)의 1/7 수준에 그쳤다.

2018년 생산액 기준 상위 10대 제조업 중, 2015년 대비 2019년 생산능력이 1% 이상 향상된 업종은 전자부품(20.1%), 화학(8.0%) 등 5개로 나타났다. 이어 고무·플라스틱(3.6%), 금속가공(8.5%) 등 2개 업종은 생산능력이 1% 이상 하락했고, 생산능력이 2015년 수준을 유지한 업종은 기타 기계·장비 등 3개 였다.

 

생산능력 유형별 10대 제조업 생산액 비중(18년 기준)을 살펴보면, 상승형 5개 업종의 비중이 55.1%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정체형(3개 업종)과 하락형(2개 업종)의 비중은 각각 34.1%, 10.8%를 기록했다. 한편 10대 제조업의 생산능력 유형별 고용비중(18년 기준)은 상승형 39.7%, 정체형 35.2%, 하락형 25.1%로 정체 또는 하락형 업종이 국내 고용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연은 "고용인원 기준 제조업 상위 5개 업종 중, 4개 업종의 생산능력이 정체 또는 하락형 추세를 보이고 있다"며 "고용 기여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업종을 중심으로 생산능력지수 증가율이 둔화되고 있어 이들 업종의 일자리 해외 유출 등 고용환경의 악화가 우려된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