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채용비리 사태와 은행권 후폭풍
우리은행 채용비리 사태와 은행권 후폭풍
  • 오진석 기자
  • 승인 2017.11.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 기사를 번역합니다

CEO스코어 박주근 대표

[팍스경제TV 오진석 기자]

검찰이 채용비리 사건과 관련해 오늘(7일) 오전 9시부터 우리은행을 압수수색했습니다.

정의당 심상정 의원이 우리은행 채용비리 의혹을 제기한 결과 금감원이 검찰에 고발하면서 시작된 것인데요.

금융권에도 태풍이 불기시작했습니다.

CEO스코어 박주근 대표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앵커) 우리은행 채용비리 사건의 발단, 어디서부터 시작되었습니까?

(박주근)  지난달 16일 금융감독원에 대한 정무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 당시 정의당 심상정 의원은 우리은행이 지난해 하반기 신입사원 150명을 공채하면서 이중 약 10%인 16명을 금융감독원이나 국가정보원, 은행 주요고객의 자녀와 친인척, 지인 등을 특혜 채용한 것으로 보인다는 의혹을 제기했습니다.

심 의원이 입수해 공개한 우리은행 인사팀의 ‘2016년 우리은행 신입사원 공채 추천현황 및 결과’라는 제목의 문건에 따르면 모두 16명의 이름과 생년, 성별, 출신학교와 함께 해당 인물의 배경이 되는 관련 정보와 추천인이 적혀있었는데요.

이에 우리은행은 이후 자체감사에 들어가 지난주 심 의원실과 금감원에 중간보고서를 제출하고 또 채용비리 의혹과 관련돼 있다는 의혹을 받은 남기명 국내부문장과 검사실장, 영업본부장 등 3명을 직위 해제했습니다.

당시 우리은행이 제출한 보고서에 따르면 “채용 추천 명단은 인사부 채용 담당팀에서 작성한 것은 맞지만, 구체적인 합격지시나 최종합격자의 부당한 변경, 형사상 업무방해 등은 없었다”며 채용비리 의혹에 대해 부인했습니다.

(앵커) 그 결과 이광구 행장이 사퇴를 했지요?

(박주근) 이와 관련해 심 의원은 지난 30일 금융위·금감원에 대한 종합감사에서 “우리은행이 자정능력을 상실해 매우 실망스럽다”면서 “당장 검찰 고발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금감원은 지난 9월 감사원 감사결과, 지난해 채용과정에서 선발 인원과 평가방식 등을 자의적으로 조정해 16명의 당락을 부당하게 뒤바꾼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에 이 행장은 2일 전체 임직원에게 e메일을 보내 “지난해 신입 행원 채용 논란과 관련해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데 대해 국민과 고객님들께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며 “도의적 책임을 지고 사임하려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행장은 채용 비리에 대한 검찰 수사가 임박하자 결단을 내린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우리은행 주주 구성을 보면, 일반적인 회사와는 다른 상황인데...예보가 포함되어있죠?

(박주근) 우리은행은 5개 과점주주(IMM PE, 한화생명, 한국투자증권, 키움증권, 동양생명)가 이사회를 구성하고 있으나 예보가 18.52%의 지분을 보유해 단일 주주로는 최대주주입니다.

 정부가 예금보험공사를 통해 보유한 우리은행 잔여지분은 18.52%입니다.

정부는 올해 1월 31일 동양생명[082640](4.0%), 미래에셋자산운용(3.7%), 유진자산운용(4.0%), 키움증권[039490](4.0%), 한국투자증권(4.0%), 한화생명 (4.0%), IMM PE(6.0%) 등 7개 과점주주에 대한 매각절차를 종결해 우리은행을 실질적으로 민영화했습니다. 이들 과점주주가 낙찰받은 우리은행 지분은 모두 29.7%로 정부보유지분을 넘어서는 것입니다.

 정부가 지난해 우리은행 민영화 당시 예보가 보유한 지분 중 29.7%를 매각하면서 과점 주주 경영체제의 보장을 위해 정부의 경영 참여 배제를 약속한 데 따른 것이다.  채용 비리 여파로 수장 공백이 생긴 우리은행의 차기 행장 선임에 단일 1대 주주인 정부의 복심이 변수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정부가 의지를 갖고 시작한 과점주주 실험도 무산될 분위기인데요. 외부 인사가 선임되면 낙하산, 관치 논란이 재점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예보가 비상임이사를 임추위 멤버에 포함하면 차기 행장은 우리은행 사정을 잘 아는 외부 인사에 무게가 쏠릴 것이란 관측도 나옵니다. 옛 한일은행과 상업은행 출신이 편을 나눠 극심한 갈등을 빚고 있는 상황에서 한 쪽에 손을 들어주기 어려운 구조라는 관측입니다.

 채용비리 후폭풍에 공적자금이 투입된 우리은행의 완전한 민영화를 위한 정부 잔여지분 매각이 내년 이후로 늦춰질 전망입니다.

당초 시장에서는 연내 잔여지분 매각절차 개시에 대한 기대가 높았지만, 새 정부 출범 이후 공적자금관리위원 교체와 채용비리 논란에 우리은행장 사퇴가 이어지면서 매각과 관련한 논의를 시작하기조차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앵커) 다른 금융사의 (KB, 농협) 압수수색 상황도 관측됩니다. 이유가 있겠지요.

(박주근) 금융권 채용비리를 파헤치기 위해 칼을 뽑아든 금융당국이 14개 국내은행의 채용추천제도를 집중 점검하고 있다.

이번 주부터는 금융권 채용비리를 전담해 접수하는 온·오프라인 창구를 만들어 신고를 접수한다. 

 자체점검 대상 은행은 우리은행, KB국민은행, 신한은행, KEB하나은행, 씨티은행, 스탠다드차타드은행, 농협, 수협, 대구은행, 부산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제주은행, 경남은행 등 14곳 등입니다.

이들 은행은 이달 말까지 체크리스트에 따라 채용추천 운영 여부와 채용추천을 받는 경우 요건이나 절차, 내규가 있는지를 자체점검해 금융당국에 보고하게[ 됩니다.

 

(앵커) 금융권에 태풍이 몰아칠 걸로 보이는데, 금융수장 리스크 올까요?

(박주근) 금융권 수장들이 정권이 바뀔 때 마다 정권의 입맛에 맞는 코드 인사르 하는 것 같아 정권에 따른 리스크로 봐야 하지 않을까 합니다. 

  일반 기업들의 오너 리스크가 있듯이 금융권에서도 수장이 바뀌면 모든 인사 및 전략이 바뀌므로 리스크가 있을 것인데요.

 특히, 우리 금융권처럼 여러 은행이 합병을 통해서 성장변화한 경우에는 어느 출신이 되는 가가 조직의 여러 변화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더욱 그럴 것입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